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91)
(시험관 시술13) 입체초음파와 1차 기형아검사 그리고 하혈 (임신12주0일) 1. 임신 12주차 증상 아내가 정말 마른편인데, 12주차 정도 되니 살짝 배가 나온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입덧입니다. 보통 다른사람들은 16주 이후 부터 입덧이 좋아졌다고 하는데, 제 아내는 입덧이 조금 완화되었다고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11주차가 정말 절정의 입덧이 였는데, 12주차가 되니 11주의 50%정도의 입덧증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입덧이 나아지면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먹기 시작한다는데, 남편분들은 긴장하셔야 될것 같습니다. 제 아내는 복숭아를 그렇게 찾더라구요. 11월인데 복숭아를 어디서 구해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난감하기도 합니다. 인터넷에 판매를 하긴 하는데 4개에 6만원 하더라구요. 신체적 변화와 입덧의 완화가 주요 증상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직까지 조금의 하혈이 있..
(교직원공제회 대출 갚기 완료) 교직원 공제회 대출 상환 1. 교직원공제회 대출 조건과 종류 우선 교직원공제회 대여를 받기 위해서는 공통 조건이 있습니다. 장기저축급여 가입회원이여야 하며, 장기저축급여금과 상환중인 대여의 미납이 없어야 합니다. 그리고 현재 재직중이여야 하며, 대여상환액을 매월 급여에서 공제할 수있어야 하는 회원만 대출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교직원공제회에는 다양한 종류의 대출이 있습니다. 저는 최초대여, 일반대여를 받아 보았습니다. 그렇지만 현재 최초대여 서비스는 종료가 되었고 현재 대여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공제회 대여를 선택하여 대출을 받으시면 됩니다. 교직원 공제회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이 있으며 대여 종류마다 조건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받기 전에 미리 확인을 무조건 하셔야 합니다. 일반대여: 장기저축급여 가..
(가성비 수분크림) 30대 남자 수분크림 추천, 토니모리 원더 아쿠아 수분크림 1. 토니머리 원더 아쿠아 수분크림을 선택한 이유? 바디로션과 마찬가지로, 30대 중반이 되니, 환절기와 겨울철이 되면 얼굴이 매우 건조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아무리 로션과 수분 크림을 발라도 겨울철에는 감당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물가가 많이 올랐는데 화장품 값도 장난아니게 올랐더군요. 그래서 대용량이면서 정말 수분흡입력이 좋은 수분크림을 찾게 되었습니다. 즉 가성비와 효율성을 다 잡아 보겠다고 폭풍 인터넷 검색을 하였습니다. 사실 검색도 하지 않았습니다. 쿠팡에 들어가서 수분크림 쳐서 싸면서 좋은것이 뭐가 있는지 찾아보았습니다. 공급이 있으니 수요가 있다는 법칙을 이루려고 하였습니다. 쿠팡에서 제일 먼저 뜬것이 토니모리 원더 아쿠아 수분크림이였습니다. 한번 눌러보고 여러 인터넷 블로그나 유튜..
시험관 임신 비용 정리, 시험관 임신 비용 실비 정산 (시험관 비용, 시험관 비용 총 정리) 1. 시험관 임신 비용 총 정리 저희는 2023년 1월에 난임 검사 후에 판정을 받았고, 2023년 7월에 1차, 2023년 8월에 2차를 진행하였습니다. 우선 시험관 시술 전 난임 검사 비용이 들었습니다. 남편의 정자검사 63,200원, 아내의 난임검사 171,400원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1차 시험관 실패 이후, 2차 시험관 성공을 하여 비용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검사비용 및 항목, 시험관 비용은 병원마다 다르고, 약제비도 병원, 아기상태, 산모상태에 따라 다를수 있으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될것 같습니다. 서류를 정리하다보니, 서류가 너무 많아서 정리하기도 힘들었습니다. 우선 진료비 총 금액은 2,829,040원이였습니다. 그 중 제일 큰 비용은 동결비용이였습니다. 배아 동결비용은 병원마다 상이하..
(커피원두 추천) 대용량 커피 원두 추천, 테라로사 에스프레소 블렌드 (코스트코 원두 추천, 쿠팡 원두 추천) 1. 커피 현황과 사무실 커피를 고르는 조건 최근에 우리나라의 커피 소비량은 어마어마하게 증가하였습니다. 우스게 소리로, 술은 안마시는 사람은 있어도, 커피 안마시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정말 많이 증가 하였습니다. 이것은 사실 우리나라의 상황만은 아닙니다. 전 세계적으로 커피의 소비량은 증가 하였다고 합니다. 국제커피기구(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ICO)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커피 소비는 연평균 2.1%씩 증가했습니다. 그리고 전 세계에서 매일 20억잔의 커피를 마시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실로 어마어마한 수치가 아닌가 싶습니다. 저 또한 최근 몇년 사이에 커피를 하루에 한잔이상은 마시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것을 토대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이번에 사무실 원..